
글로벌 금융체계가 점점 더 상호 연결됨에 따라 각국의 통화정책은 더 이상 국내 경제만을 위한 도구가 아니다. 특히 글로벌 주요국의 기준금리가 변할 때마다 다른 국가들이 이를 따라가는 현상을 흔히 ‘기준금리 동조화’라고 부른다. 이 현상은 단기적으로는 시장 안정과 투자예측 용이라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그러나 반대로, 동조화 뒤에는 금융종속(financial dependency)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운다. 금리 주권이 사실상 외부 기준(특히 미국 기준금리)에 매달리게 되면, 국내 경제 여건과 사회 상황보다 외부 흐름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많은 신흥국은 미국 금리가 오르면 자국도 인상할 수밖에 없었고, 수입 물가, 고용, 복지 지출 등의 균형은 외부 기준에 따라 흔들렸다. 자본 흐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