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준금리는 한 나라의 통화정책의 중추라 불릴 만큼 경제 운용에 핵심적인 지표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글로벌 기준금리 동조화’라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 혹은 인하가 단지 자국의 경제 조정 도구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 중앙은행의 결정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구조가 고착화되고 있다. 특히 한국의 경우, 환율 방어, 자본 유출입 조절, 수입물가 안정 등 다양한 이유로 미국의 금리 정책을 외면하기 어려운 구조에 놓여 있다. 이로 인해 통화정책의 독립성, 나아가 경제정책 전반의 자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글로벌 기준금리 동조화’는 단순히 국제 금융 환경의 조응이라기보다는, 국내 경제 주체들의 정책 선택지를 제약하는 숨은 통제력으로 작용하고 있다.이러한 배경 ..